본문 바로가기

한국 고미술사

(60)
기와 위의 짐승들 – 잡상에 담긴 상징과 미감 조선의 궁궐과 고건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지붕 위에 작은 짐승들이 줄지어 앉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조각들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잡상(雜像)이라 불리는 특별한 조형물이죠. 왕실 건축물에서만 볼 수 있는 이 잡상은 기능과 상징, 그리고 풍자의 요소가 절묘하게 결합된 고미술 조형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붕 위에서 왕을 지키고 나라를 풍자하며, 동시에 조선의 조형 철학을 표현해 온 잡상의 구조와 의미, 그리고 한국 고미술사에서 그 위치를 되짚어 보겠습니다. 잡상이란 무엇인가 – 건축과 조형의 교차점에 선 상징잡상은 조선시대 궁궐, 관청, 일부 사대부 가옥의 지붕 위 추녀마루(지붕 끝선)에 설치된 작은 상(像) 조각입니다. 주로 기와를 타고 줄지어 배치되며, 마치 무언가를 지켜보는 듯한 모습..
필통 하나에도 시(詩)가 있다 – 문방구 속 한국 고미술사 붓을 들기 전, 마음을 가다듬고 먹을 갈던 선비들의 책상 위에는 실용과 조형이 동시에 놓여 있었습니다. 필통, 붓꽂이, 먹갑, 연적 같은 문방구는 단지 도구가 아니라, 손끝으로 생각을 다듬는 미술품이자 삶의 자세를 담은 오브제였습니다. 한국 고미술사 속 문방구는 미술, 공예, 생활문화가 만난 입체적 예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시대 문방구의 형태, 기능, 문양, 그리고 선비의 정신이 어떻게 작은 도구에 응축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며, 책상 위 고미술의 본질을 다시 들여다봅니다. 선비의 책상 위에서 태어난 조형 – 문방구란 무엇이었을까?조선시대 선비에게 글쓰기는 단순한 기록을 넘는 행위였습니다. 글은 수양의 도구였고, 동시에 내면의 깊이를 드러내는 매체였습니다. 이 글쓰기를 위해 사용된 도구, 즉 문방구(文..
조형으로 남은 감정 – 한국 고미술사, 일상의 깊이에 닿다 전통은 단지 오래된 유산이 아닙니다. 전통은 지금도 계속 쓰이고 있고, 느껴지고 있고, 열리고 닫히는 손끝의 감정 속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전통의 재조명》 시리즈는 한국 고미술사의 ‘생활 속 조형’을 주제로, 사찰의 돌등부터 떡 위의 문양, 보자기 한 장, 가구의 서랍에 이르기까지, 눈에 잘 띄지 않던 전통 미술의 조형 감각을 깊이 있게 살펴본 여정이었습니다. 이번 마무리 편에서는 그 열 편의 이야기를 하나로 엮어, 전통이 어떤 방식으로 감정과 공간, 손의 기억 속에 살아 있는지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작지만 깊은 것’ – 고미술은 생활의 언어였다이 시리즈를 통해 가장 강하게 다가온 인상은, 한국 고미술의 진짜 정체는 화려하거나 거창한 것이 아니라, ‘작지만 깊은 것’이라는 점입니다.창호문에 새겨..
고가구 조각의 문양 – 서랍 하나에도 상징이 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전통 가구는 단순한 수납장이 아닙니다. 조선시대 고가구에는 문을 열고 닫는 기능 외에도, 나무 표면에 새겨진 정교한 문양이 삶의 가치와 철학을 조용히 말하고 있습니다. 장롱, 반닫이, 책장 같은 가구의 문짝과 서랍 손잡이에는 복(福), 수(壽), 모란, 학, 박쥐 같은 상징이 새겨졌고, 이는 단지 장식이 아닌 ‘삶의 기원’을 담은 시각적 기호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 후기부터 이어진 전통 가구 조각 문양의 조형미와 상징, 그리고 그 안에 담긴 한국 고미술사의 감성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능을 넘어선 조형 – 생활 속 미술로서의 고가구조선시대 가구는 매우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졌습니다. 생활 공간이 크지 않고 좌식 문화가 발달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구는 낮고 넓은 형태를 가지고..
민간 제례에서 쓰인 고미술 – 고사그림과 벽걸이 조선시대의 미술은 궁궐이나 절에서만 꽃피운 것이 아닙니다. 민간에서도 제례와 일상행사 속에 다양한 형태의 고미술이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습니다. 제사상 뒤에 걸린 고사그림, 선조의 영정 대신 쓰인 벽걸이 형식의 신위화(神位畵) 등은 모두 실용성과 상징성을 겸비한 생활 속 미술이었습니다. 이들은 전문 화가가 아닌 민간 장인이 그린 경우가 많았지만, 오히려 그 안에 더 생생한 감정과 전통 미감이 스며들어 있었죠. 이번 글에서는 한국 고미술사에서 상대적으로 조명되지 않았던 민간 제례 미술의 사례를 통해, 우리가 잊고 있던 생활 속 조형의 의미를 되짚어 보겠습니다. 제사와 미술이 만난 자리 – 고사그림의 기원과 쓰임고사그림(告祀圖)은 말 그대로 ‘신에게 고하고 제사를 올리는’ 자리에서 쓰이는 그림입니다. 제사상 뒤..
불화 속 악귀 표현 방식 – 공포를 조형한 상상력 전통 불화(佛畫)에는 극락의 부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고통과 죽음을 상징하는 지옥도, 감로도 속에는 온갖 모습의 악귀와 귀신들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당시 사람들에게 단지 무서운 존재가 아니라, 죄와 업보, 그리고 인간의 내면을 비유한 형상으로 기능했죠. 특히 조선시대 불화에 나타난 악귀의 표현은 상상력과 조형미, 상징성이 결합된 고유한 시각 예술이자, 한국 고미술사의 독특한 시각 언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 불화에 나타난 악귀 도상의 구성 방식과 그 안에 담긴 상징, 그리고 그것이 공포를 어떻게 시각화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악귀는 왜 불화에 등장했을까? – 윤회의 질서를 시각화한 존재불화 속 악귀는 단순한 '괴물'이나 '유령'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인간의 잘못된 마음, 탐욕, 분노,..
왕실 보자기의 문양 – 포장 속에 숨은 권위와 정성 조선 왕실에서 물건을 싸는 행위는 단순한 포장이 아니었습니다. 한 장의 천, 그 안에 감춰진 문양과 색은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전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언어였습니다. 왕실 보자기에는 상징과 격식, 품위와 권위가 함께 담겨 있었고, 그 안에는 조선이 추구한 질서와 미감이 고스란히 스며들어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고미술 전통 보자기의 조형적 문양, 색상의 상징, 실용성과 미의식이 만난 방식, 그리고 오늘날 다시 주목받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싸는 것 이상의 의미 – 왕실 보자기의 기능과 쓰임조선 왕실에서는 물건 하나를 전하는 데도 엄격한 형식과 예가 따랐습니다. 보자기는 그 형식의 시작점이자 마무리였습니다. 주로 비단이나 명주로 만들어진 왕실 보자기는 물건을 보호하는 실용적 용도는 물..
전통 떡살(木型)의 문양과 민속미술-떡 위에 새겨진 기원과 이야기 전통 떡 위에 정성껏 눌러 찍힌 문양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사람들의 기원과 정서가 담긴 시각 언어였습니다. 이 문양을 찍는 데 쓰인 도구가 바로 떡살(木型)인데요. 떡살은 나무로 만든 작은 틀이지만, 그 안에는 복을 바라는 마음, 집안의 품격, 공동체의 정서가 섬세하게 새겨져 있었습니다. 지금은 잊히기 쉬운 물건이지만, 떡살은 조선 후기까지 일상과 의례 속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민속미술의 소중한 자산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고미술 중 하나인 민속 미술의 떡살의 쓰임과 구조, 문양의 상징성과 조형적 특징, 그리고 그것이 왜 예술로 인정받는지를 차분히 살펴보겠습니다. 문양을 새긴 나무 틀 – 떡살이란 무엇인가요?떡살(木型)은 전통 떡 위에 문양을 새기기 위한 나무 도구입니다..